“사회적 약자”의 자리를 빼앗아 그 자리에 또 다른 “사회적 약자”를 가두었다

지난 5월 21일, 서울남대문경찰서 앞에는 한 장의 공고문이 붙었다. 6월 28일자 집회 신고는 5월 29일 0시부터 가능하며 경찰서 정문 옆 경사로에서의 대기 순번대로 신고서를 접수할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6월 28일은 제 16회 퀴어문화축제의 퀴어퍼레이드가 예정되어 있는 날이다. 보수 개신교회들에서, 퀴어퍼레이드 저지를 위해 집회를 열겠다고 선언한 날이다. 5월 21일은 퀴어퍼레이드 부대 행사에 대한 서울광장 사용승인이 나온 바로 다음날이었다. 평소에는 따로 하지 않는 공고였다. 양측이 모두 집회신고를 할 것임을, 그리고 그 중 하나인 보수 개신교회측에서는 이미 경찰서 앞에 진을 치고 있음을 경찰은 물론 알고 있었다. 기왕에 경찰서 앞에 있던 그들이 1순위 대기 번호를 받았다. 뒤늦게 모여든 퀴어문화축제를 열고자 하는 이들이 그 뒤에 줄을 지었다. 두 번 꺾인 세 구역의 경사로가 그렇게 가득 찼다. 그들은 일주일 내내 그 자리를 지켰다.

경사로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을 비롯해 계단 이용이 어려운 이들의 통행을 위한 곳이다. 우습게도 계단을 없앨 생각은 않는다. 경사로를 만든 것으로 제 할 일은 다 했다고 믿는다. 계단을 걸어 오를 수 있는 사람들만이 건물을 마주하고 나아갈 수 있다. 썩 건강치 않은 노인들의 생활공간인 합천 원폭 피해자의 집은 건물의 모든 층이 계단이 아닌 경사로로 이어져 있다.

더군다나 경사로를 막는 것은 더욱 곤란한 문제다. 휠체어 이용 장애인 등의 통행을 막는 것이며, 비상시 대피로 하나를 막는 것이기도 하다. 경찰의 농간에 나 또한 그 길을 막고 앉아 있었지만 마음이 편치 않았다. 국민안전처 안전신문고라는 곳에 민원을 넣어 보았다. 5월 25일의 일이었다. 이틀이 지난 5월 27일, 민원이 경찰청에 접수되었다는 회신이 왔고 6월 3일에는 사실 확인을 위해 처리 기한이 12일까지로 연장되었다는 연락이 왔다.

그리고 오늘 6월 12일, “남대문 경찰서 담당부서(정보과) 정보관”이라는 자로부터 최종 답신이 왔다. 물론 경사로 담당부서가 아니라 경사로에 팻말과 의자를 설치하고 경사로를 민원인 대기 장소로 만든 그 일의 담당부서였다. 그는 “’15.6.28字 집회 신고를 위하여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단체들이 많은 인원을 동원하여 경찰서 정문 앞에 장시간 대기하게 될 경우 경찰서를 내방하는 많은 민원인들의 출입이 어려워져 부득이하게 경사로를 사용케 한 것”이라며 “만약 경사로를 이용해야 하는 민원인이 경찰서를 방문할 경우 경사로 이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안내해 줄 것을 경찰서 정문 근무자에게 주지를 시켜 놓았”다고 했다. “향후 동일한 사안이 발생되지 않도록 노력하겠으며, 저희 남대문 경찰서에서는 사회적 약자 및 소외계층 보호에 더욱 힘을 기울이도록 하겠”다는 말도 덧붙였다. 단체들이 “첨예하게 대립” 중이라는 핑계로, 남대문경찰서는 행진 금지 통고를 보내왔다.

굳이 계단과 경사로를 따로 만드는 일을 차치하더라도, 경사로 이용이 필요한 사람은 안내 없이도 경사로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평소에 꺼 놓는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지하철역 계단 리프트를 타기 위해 담당자를 부르게 해서는 안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경사로 역시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안내 없이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별한 사유라는 말을 굳이 덧붙이고는 어떤 게 있을까 생각해 봤는데, 한국어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 장애인에게 경사로 입구 위치를 알려준다거나 하는 정도밖에는 떠오르지 않았다. 눈으로 확인해서든 유도블록을 따라서든 길을 찾을 수 있는 한, ‘안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길이어야 한다. 그나마도 그는 “안내할 것”이 아니라 “안내해 줄 것”을 주지시켜 두었다고 했다. 해 준다는 것은 무엇이었을까.

일주일간의 대기 시간 동안 두세 번 정도 가서 자리를 지켰다. 그 중 한 번, 휠체어를 탄 사람이 지나갈 일이 있었다. 줄지어 앉아 있던 무리가 우르르 일어나 돗자리를 접었다. 그는 경사로를 올라가며 고맙다는 인사를 했고 무리는 죄송하다는 인사를 했다. 한참이 걸린 그의 업무시간동안 무리는 돗자리를 완전히 펴지 못하고 불편하게 앉아 있었고, 나가는 길에도 그들은 서로 인사를 했다. 내일은 몇 시쯤 오는지를 말하고 그는 돌아갔다.

남대문경찰서 정보관이라는 자는 “단체들이 많은 인원을 동원하여 경찰서 정문 앞에 장시간 대기하게 될 경우 경찰서를 내방하는 많은 민원인들의 출입이 어려워져” 경사로를 대기 장소로 지정했다고 말했다. 경찰서 정면에는 여러 개의 문이 있었다. 어디든 장소를 지정하면 사람들이 그곳에서 대기하리라고 생각했으니 장소를 정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장소는 정면의 계단이 아니라 측면의 경사로가 되었다. 어지간히 모여서는 다 막을 수 없을 정도로 계단과 정문은 넓었다.

“많은 민원인들”, 아마도 ‘계단을 이용할 수 있는 많은 민원인들’의 편의를 고려한 그로 인해 “경사로를 이용해야 하는 민원인”은 원래라면 필요하지 않았을 안내를 받아야 했고, 낯선 이들에게 받은 것 없이 감사 인사를 해야 했고, 낯선 이들에게 자신의 이튿날 계획까지를 밝혀야 했다. “경사로를 이용해야 하는 민원인”의 길을 대기 장소로 지정받은 탓에, 줄서 있던 무리는 지은 죄 없이도 사과를 해야 했다.

남대문경찰서는 자신들이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사회적 약자”의 자리를 빼앗아 그 자리에 또 다른 “사회적 약자”를 가두었다. 그 “약자”들은 그 자리에서의 싸움 ― 서로 고마움과 미안함을 표하는 방식으로 숨겨진 싸움 ― 에 내몰렸다. 물론, 승자는 없었다. 구경꾼들이 있었을 뿐이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