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 문화제

*
  대학 마지막 학기를 함께 한, 인터넷신문사 프로메테우스에서 일을 계속하게 되었다. 두 달의 휴식을 끝내고 다시 기사를 쓰자니 머리가 띵하다. 쓰고 싶은 말을 다 못 쓰는 것 역시 괴로운 일이지만, 쓰고 싶지 않은 말을 쓸 일은 없으니 우선은 다행이다.

*
  취재차 4.20 문화제에 갔다. 기사엔 못다한 이야기들.
  마이크를 잡은 비장애인들, 그 중에서도 장애인 운동과 그간에 연이 없었던 사람들의 발언을 듣고 있자면 늘 내심 불편하다. 그들이 장애인을 칭할 때면 자주 ‘우리’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우리 장애인들이 이렇게 고생하고 있는데, 저희도 꼭 함께 싸우겠습니다"라든가 하는 식으로. 어쩌다 그런 말을 사용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장애여성을 피해가지는 않는다. "우리 장애여성이 그런 일을 당했습니다"라든가 하는 식으로.
  철도/지하철 안전대책 수립을 요구하는 캠페인이 문화제 전에 있었다. 철도/지하철 인원감축과 관련된 문제인 덕에 장애인운동과 철도노조운동의 사람들이 함께 하게 되었다. 사회는 철도노조 쪽 사람이 보았다. 캠페인 전의 기자회견과 캠페인 후의 보고대회, 사회자는 ‘노동의례’를 이야기했다. 기자회견 후에는 철의 노동자를, 보고대회 중에는 파업가를 불렀다.
  기자회견이 끝나고 철의 노동자를 부르자는 사회자의 제안에 장애인운동과 연이 있는 이들 중 상당수는 당황하는 기색을 보였다. 그렇다고 처음 장애인운동을 만난 사회자를 탓할 수도 없는 일이다. 사람들은 술렁였지만 사회자를 따라 노래를 불렀다. 다만 도무지 그러고 싶지 않았던 누군가가, 우리가 왜 여기서 이걸 부르고 있냐, 고 옆사람에게 나지막히 속삭였을 뿐이다.
  사실 나는 믿고 싶다. 장애인운동을 경험해보지 못한 노동운동의 사람들이 장애인운동 쪽의 노래를 알지 못하니 일단 그런 노래를 부르기로 사전에 합의했던 것으로. 이번엔 미처 못했지만 다음번엔 꼭 노래를 배워오마고 약속했던 것으로. 하지만 분위기가 너무도 확연히 이야기한다. 그렇지 않음을 말이다. 그리고 노동의례라니. 4.20 장애인차별철폐의날, 올해의 9대 요구안에도 어김없이 ‘장애인노동권’이 들어가 있다.

*

""

  하지만 꼭 민망한 집회인 것만은 아니었다. 멀리서 좋아만 하고 있는 ‘장애여성공감’. ‘여성장애인독립생활운동을 독립시켜라’는 피켓을 들고, 관련내용을 담은 유인물을 쿠키와 함께 참가자들에게 나누어 주고 있었다. 운동의 내부를 향해 또 다른 운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 나는 그런 이들이 좋다.
  길에다 누군가가 버려놓은 유인물을 주워다 읽은 후 주머니에 챙겼다. 그런 한참 후에야 공감에서 활동하시는 분이 내게도 유인물과 쿠키를 건냈다. 유인물은 있다며 쿠키만 받으려니 둘 다 받으라고 정색을. 못 들으셨나 싶어 유인물은 땅에서 하나 주웠다, 고 구체적으로 말했더니 멋쩍게 웃으며 유인물을 되받아 가셨다. 종이가 아까워도 그냥 좀 받을 걸 그랬나.

*

""

  간만에 본 한낱 님. 두 곡 부르고 가셨는데, 우울한 곡을 부를 때나 발랄한 곡을 부를 때나 표정은 똑같이 심각하다. 가사 안 잊어버리려다보니 그렇게 되는 거라나. 기사 쓸 때 사진 실어주마고 약속했는데, 아는 사람 나왔다고 너무 가까이서 찍었더니 관중이 하나도 안 나와서 약속을 못 지키게 되었다. (누나가 나온 사진엔 관객이 두 명밖에 없는 것처럼 보여서… 대신 여기 올립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