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의상’의 쓰임

수업 시간 발표를 위해 쓴 글은 열 한 쪽, 참고 자료 목록까지 더해 총 열 두 쪽이 되었다. 서른 명이 듣는 수업, 도합 삼백 예순 페이지나 되었지만 양면 인쇄를 하니 생각보다 부피는 크지 않았다. 학생들에게 나누어 줄 것은 양면 복사를 하고, 교수에게 제출할 것은 단면으로 인쇄한 것을 따로 철했다. 예의상, 이라는 문구가 문득 떠오르자 양면과 단면의 예의가 어떤 차이인지 궁금해졌다.


대학에 다니면서 하고 싶은 일은 거진 다 해 보았는데, 못 해 본 몇 가지 중 하나는 이면지에 글을 인쇄해 제출하는 것이다. 발표는 많지 않았으므로 사용하는 종이의 대부분은 기말 논문을 출력해 제출하는 데에 들어갔다. 한 번쯤 읽히고 버려질 글이었다. 첨삭되어 돌아 오면 이면지로나마 썼겠지만, 대부분은 돌아오지 않았다.


이면지에 인쇄해서 제출해도 괜찮을까, 를 고민할 때 ‘예의상’이라는 말은 헷갈리지 않도록 “이면지 사용”이라는 도장 정도는 찍어야겠지, 라는 생각을 수식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그러던 것이 이제 와서는 자연스런 단면 인쇄를 합리화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는 데에 생각이 미치자 괜히 씁쓸해 졌다.


늘 누구와도 싸우지 않고자 했지만, 수없이 싸웠더랬다. 어떻게든 싸움을 줄여 나가려 노력하는 동안 애꿎게도 싸움의 대상이 된 것은 가까운 친구들, 정작 싸울 거리가 많지도 않은 이들이었다. 타인의 잘못을 눈감고 지나치느라 지쳐 예민해진 눈에 걸린 친구들의 작은 잘못과 나는 싸웠다.


이제는 그나마도 싸우지 않고, 때로는 나 자신과조차도 싸우지 않는다. 싸움을 포기했거나 싸움을 무의미하게 생각하게 된 것은 아니다. 다만, 싸우지 않고자 하는 노력을 엉뚱하게 쏟아 버려 습관이 변한 탓이다. 때로 잘못 든 습관을 고치기 위해 노력한다. 노력하지 않는 습관이 들어버린 스스로를 씁쓸해하며 말이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