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스 인밸리드, 「장애 정의의 10가지 원칙」

원문: Sins Invalid, “10 Principles of Disability Justice”확장판.
모든 각주는 역주.

장애 정의의 10가지 원칙

신스 인밸리드Sins Invalid[1]신스 인밸리드는 장애인, 유색인, 퀴어 작가를 중심으로 ‘장애 정의’에 입각해 섹슈얼리티와 미美를 탐색하는 퍼포먼스 작업을 펼치는 단체다. … (계속)

신스 인밸리드에서 우리는 장애 정의의 틀과 실천을 함양한다. 이 새로운 틀에는 열 가지 원칙이 있으며 그 각각은 운동을 건설을 기회를 제공한다.

1. 교차성INTERSECTIONALITY

간단히 말하자면 이 원칙은 우리는 다양한 것으로 구성되며 그 모두가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말이다. 우리는 단순히 장애인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또한 인종, 계급, 섹슈얼리티, 연령, 종교적 배경, 지리적 위치, 이주민 신분 등 구체적인 경험을 갖고 있다. 맥락에 따라, 우리 모두에게는 억압을 경험하는 영역 뿐 아니라 특권의 영역이 있다. 페미니스트 이론가 킴벌리 크렌쇼Kimberlé Crenshaw가 1989년에 제안한 “교차성”은 인종차별racism과 성차별sexism을 특수하게 경험하는 흑인 여성의 경험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우리는 이 원칙이 우리의 삶에 가져다주는 뉘앙스를, 그리고 이것이 우리가 제시하는 관점들에 부여하는 형태를 기꺼이 끌어안는다.

2. 당사자 주도LEADERSHIP OF THOSE MOST IMPACTED

정상신체중심주의ableism, 인종차별, 성차별과 트랜스여성혐오transmisogyny, 식민화, 경찰 폭력 등을 이야기할 때 우리는 학자나 전문가가 무엇이 무엇인지 말해주기를 기대하지 않는다 — 우리는 우리가 맞서는 체제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이들the most impacted의 관점을 발굴하고 듣고 읽고 따르고 강조한다. 당사자들의 주도를 중심에 둠으로써 현실 세계의 문제에 토대를 투고 창의적인 저항 전략을 찾을 수 있다.

3. 반자본주의 정치학ANTI-CAPITALIST POLITICS

자본주의는 나머지를 희생시키는 일부(백인 지배 계급)를 위한 부의 축적을 토대로 삼으며 생존 수단으로서 경쟁을 획책한다. 우리네 장애 심신our disabled bodyminds은 본성상 자본주의 문화에서 “규범적인” 수준의 생산성에 순응키를 거부하며 우리의 노동은 노동을 정상신체적인abled-bodied, 백인 우월주의적인, 젠더규범적인 기준으로 정의하는 체제에는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우리의 가치는 우리가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 수 있는가 하는 데 있지 않다.

4. 운동간 연대CROSS-MOVEMENT SOLIDARITY

장애 정의의 잠재력은 인종 정의, 재생산 정의, 퀴어/트랜스 해방, 감옥 철폐, 환경 정의, 경찰 테러 반대, 농인 행동주의Deaf activism, 비만 해방fat liberation 등 정의과 해방을 위한 여러 운동과 함께 하는 식으로만 발현될 수 있다. 인종차별을 두고 백인 장애 공동체에 이의를 제기하고 다른 운동들에 정상신체중심주의에 맞서라는 이의를 제기해야 한다는 뜻이다. 운동간 연대를 통해 우리는 통일전선을 형성할 수 있다.

5. 전체성의 인식RECOGNIZING WHOLENESS

사람은 저마다 역사와 삶의 경험으로 가득하다. 저마다가 고유의 사유, 감각, 감정, 성적 판타지, 지각, 개성quirks이 만드는 내적인 경험을 갖고 있다. 장애인은 전인적 존재whole people이다.

6.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우리는 개인으로서 그리고 집단으로서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속도를 조절하는 법을 배운다. 우리는 우리의 몸과 경험이 주는 가르침을 가치롭게 여기며 이를 중요한 지침이자 참조점 삼아 서두르지 않고 깊고 느리고 변혁적이며 멈출 수 없는 정의와 해방의 물결 속으로 나아간다.

7. 장애간 연대의 중시COMMITMENT TO CROSS-DISABILITY SOLIDARITY

우리는 우리 모든 공동체 성원들의 소중한 통찰과 참여에 경의를 표한다. 정치적 대화에서 늘상 배제되곤 하는 이들에 대해서도, 또한 특히, 그러하다. 우리는 신체적 손상physical impairments이 있는 이들, 아프거나 만성 질환이 있는 이들, 정신과 생존자psych survivors[2]정신과 질환이나 정신 장애가 아니라 정신과를, 즉 강제 치료를 비롯한 정신의학의 권위주의와 폭력을 경험한 이들, 혹은 환자권리운동 등을 통해 … (계속) 정신건강 장애mental health disabilities가 있는 이들, 신경다양인neurodiverse people[3]자폐, ADHD 등 흔히 병이나 장애로 여겨지는, 신경학적으로 비전형적인 특성이 있는 이들을 가리킨다. 일련의 병/장애를 탈병리화하려는 관점의 … (계속), 지적·발달장애가 있는 이들, 농인, 맹인, 환경 피해나 화학물질 민감증environmental injuries and chemical sensitivities이 있는 이들, 그리고 정상신체중심주의나 우리의 집단적 해방을 갉아먹는 고립을 경험하는 모든이들이 따로 고립되지 않게 하는 운동을 건설한다.

8. 상호의존INTERDEPENDENCE

서구의 확장이라는 대규모 식민 기획이 있기 전에, 우리는 우리네 공동체에 깃들어 있는 상호의존의 본성을 알았다. 우리는 모든 생명체와 대지의 해방이 우리 공동체의 해방과 떼려야 뗄 수 없다고 여긴다. 우리 모두는 하나의 행성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해방을 향한 여정에서 서로의 필요needs에 부응하려 노력한다. 이에 있어 우리는 국가적 해법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국가적 해법이란 필연적으로 국가가 우리의 삶을 더욱 깊숙이 통제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9. 집단적 접근성COLLECTIVE ACCESS

흑인, 선주민, 퀴어 불구Black and brown and queer crips로서 우리는 유연하게 그리고 창조적 뉘앙스를 두며 서로를 만난다. 정상신체적이고 신경전형적인 규범을 넘어서는 일들을 행할 길을 만들고 또 탐색한다. 접근성에 관한 필요access needs는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 우리 모두는 맥락과 환경에 따라 다르게 기능한다. 접근성에 관한 필요가 구체화되고 충족되는 방식은 개개인의 필요, 욕망, 또한 모임의 역량에 따라 사적일 수도, 집단을 통할 수도, 혹은 공동체 차원의 것일 수도 있다. 우리는 우리의 접근성에 관한 필요를 함께 책임질 수 있고 우리의 필요가 우리의 통합성integrity을 약화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총족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공동체에 속하면서도 자율성의 균형을 잡을 수 있고 우리의 취약성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다. 우리의 강점이 존중될 때 그러하다.

10. 집단적 해방COLLECTIVE LIBERATION

능력이 다양한[장애 여부 및 유형이 다양한]mixed abilities, 다인종적인multiracial, 다성적인multi-gendered, 계급이 다양한mixed class 이들로서 우리는, 그 어떤 심신도 빼놓지 않는 전망을 갖고서, 성적인sexual 스펙트럼을 가로질러 운동한다.

이것이 장애 정의이다. 우리는 순응하지 않는 몸과 정신을 가진 우리 모두의 자산인 회복력과 저항resilience and resistance이라는 유구한 유산에 경의를 표한다. 장애 정의는 아직 폭넓은 기반을 갖춘 대중적인 운동은 아니다. 장애 정의는 아직 도래하지 않은 전망이자 실천, 우리의 다양성들multiplicities, 역사들 속에서 우리의 선조, 미래의 후손과 함께 만들어 나가는 지도, 모든 몸과 정신이 아름답게 여겨지는 세계를 향한 운동이다.

1 신스 인밸리드는 장애인, 유색인, 퀴어 작가를 중심으로 ‘장애 정의’에 입각해 섹슈얼리티와 미를 탐색하는 퍼포먼스 작업을 펼치는 단체다. 공동 창립자 패트리샤 번Patricia Berne에 따르면 신스 인밸리드, 즉 ‘부당한 죄악[부당하게 죄악이라 불리는 것 혹은 그에 내려지는 벌]’이라는 이름은 “비규범적인 신체”를 “아버지의 죄악으로 아들에게 내려진 벌”로 여기는 “부당한 틀”에서, 그리고 장애인, 병약자 등을 가리키는 인벌리드invalid라는 말에서 착안한 것이다.(Cory Silverberg, “When it Comes to Sex, Are Your Sins Invalid?,” Huffpost: The Blog, 2011.) 정식 명칭은 “신스 인밸리드: 비가시성 앞에서 부끄럼 없이 미를 주장하다Sins Invalid: An Unshamed Claim to Beauty in the Face of Invisibility”이다.
2 정신과 질환이나 정신 장애가 아니라 정신과를, 즉 강제 치료를 비롯한 정신의학의 권위주의와 폭력을 경험한 이들, 혹은 환자권리운동 등을 통해 정신의학의 개혁을 요구하는 이들을 가리킨다.
3 자폐, ADHD 등 흔히 병이나 장애로 여겨지는, 신경학적으로 비전형적인 특성이 있는 이들을 가리킨다. 일련의 병/장애를 탈병리화하려는 관점의 용어로, 이에 대응해 기존에 ‘정상인’으로 분류되는 이들을 ‘신경전형인neurotypical people’으로 칭한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