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본부에 자보를 붙였다.

*
학기 초부터 법인화 반대 자보를 써야지, 해 놓고는 여태 미적거리기만 했다. 학부 다닐 때는 곧잘 개인 명의로 자보를 써 붙였는데, 괜히 뻘쭘해서 같이 쓸 사람을 찾았지만 대학생사람연대도, 인문대 학생회도 딱히 릴레이 자보 같은 것을 쓰지 않아서, 계속 마음의 짐으로만 두고 있었다.
그러고는 얼마 전, 학생 비상총회가 열리고 본부 점거가 시작되었다. 어째선지 자보 쓸 생각을 못하고 있다가, 사회학과와 인류학과 대학원(아마 자치회가 있는)의 원생들이 연명한 자보가 붙은 것을 보고는 나도 하나 써야지, 하고 생각을 했다.
다른 과 친구의 연구실에 갔다가, 인문대 각과 대학원생들이 연명한 자보의 초안을 보았다. 여전히 혼자 쓰기는 뻘쭘해서 거기에 연명을 할까 했는데, 제목이 ‘후배들의 투쟁을 지지한다’고 되어 있더라.
학부생들이 전부 내 후배도 아닐뿐더러, 학번상 후배라고 해도 그렇게 부르고 싶지는 않아서 결국 서명하지 않았다.(그 자보는 후배 대신 학우라는 호칭으로 수정되어 게시되었다.) 그리고는 한 이틀 쯤 어찌 할까 망설이다, 자보 초안을 써서 연구실 문에 붙여 두었다. 읽어 보시고 연명해 달라는 글과 함께.
이틀 동안 붙여 두고 연명을 모아 게시하려 했는데, 첫날 사람들이 읽어만 보고 아무도 서명을 하지 않아서 종일 불안해했다. 두 세 명의 이름으로 거는 것도 물론 좋은 일이지만, 남들이 보기엔 ‘미학과 사람들은 관심이 없구나’ 하는 인상을 받기 십상이니 말이다.
한 일곱 명 쯤 모이면 성공이다 생각하고는 하루를 집에서 보내고, 자보를 게시하기로 한 날 학교에 와서 봤더니 의외로 많은 사람들, 열 세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이름을 적어 두었더라. 안도의 숨을 내쉬며, 기쁜 마음으로 점거 농성장 한 켠에 자보를 붙였다.
그리고 어제 저녁에 문자로 한 명, 오늘 연구실에 앉아 있는데 찾아 와서 한 명, 두 사람이 미처 서명을 못했다고 말하길래 이름을 따로 인쇄해서 풀로 붙였다. 그렇게, 나를 포함해서 열여섯 명의 이름이 담긴 자보가 지금 본부 점거 농성장에 붙어 있다.

*
집회에서 친구들이랑 같이 쓴 유인물을 뿌린 일은 졸업 후에도 종종 있었지만, 학교에 자보를 붙인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물론 자보를 만들고 인쇄한 것도. 덕분에 편집을 잘못해서, 제목이 다른 자보들 본문만한 사이즈로 나와버렸다. 제목 작게 나왔다고 전지를 그냥 버릴 수는 없으니 그대로 게시했다.

*
제목을 어떻게 쓸까 한참 고민했다. 인류학과 자보는 기억이 나지 않고, 사회학과 자보는 ‘사회학과 대학원생은 점거 농성을 지지합니다’는 정도의 문장이었던 것 같다. ‘미학과 대학원생’과 ‘지지합니다’는 정해져 있는데, 주격 조사와 목적어를 뭘로 해야 할지가 어려웠다.
농성 열흘 만에 뒤늦게야 붙이는 자보라, 미학과 대학원생들‘도’라고 썼다. 소위 ‘투쟁적’인 문체의 글이 아니라, 목적어는 ‘법인화 반대 투쟁’이나 ‘본부 점거’ 대신 ‘총학생회’로 했다. 대학원 총학생회가 없는 상황에서 사실, 믿을 만한 것은 미우나 고우나 총학생회 뿐이기도 하고.

*
그래서 붙인 자보 전문.

미학과 대학원생들도 총학생회를 지지합니다

6동 연구실에 앉아 있으면 마음이 산란합니다. 땅, 땅, 계속해서 들려오는 8동 공사 현장의 파일 박는 소리 때문만은 아닙니다. 8동을 허물고 새로 짓는 건물이, 중앙대의 인문대를 초토화시킨 두산의 건물이기 때문만도 아닙니다. 잊을만하면 들려오는 시간 강사의 죽음, 사기업 노동자들만큼의 대우조차 받지 못하는 학내의 다양한 노동자들, 영문을 모른 채 오르기만 하는 등록금―무엇 하나만을 탓하기엔, 대학은 이미 너무도 뒤숭숭합니다.

연구실도 강의실도, 어느 곳 하나 환경이 좋아진 곳은 없는데 건물 뒤로는 폭포가 만들어졌습니다. 땅속으로 원래 흐르던 물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공사라고 적혀 있기는 하지만, 무엇 때문이 굳이 전기 펌프로 물을 퍼 올려다 떨어뜨리는지는 알 수 없는 노릇입니다. 무엇 하나 스스로는 살 수 없을 것이 뻔한, 이 개울을 보며 청계천을 떠올리는 이가 누구 하나만은 아닐 것입니다.

University라는 단어의 어원까지를 언급하며, 세상이 나아갈 답을 찾는 곳이라고 스스로를 소개하던 대학이, 답을 찾기를 포기한 듯 보이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기업의 사원 평가를 방불케 하는 학사 제도, 곳곳에 들어서는 기업의 간판이 달린 건물들, 공부와는 상관없는, 그렇다고 무엇과 상관있는지도 알 수 없는데도 끊이지 않는 공사들, 학교는 그저 바깥세상을 좇기만 하고 있습니다.

서울대법인화 법이 국회에서 날치기 처리되었습니다. 학교는 이마저도 그저 좇으려 합니다. 내용상의 문제도, 절차상의 문제도 묻지 않습니다.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표방하는 대통령, 인문학 전공자가 많아 청년 실업이 심하다고 말하는 노동부 장관, 그런 정권의 인사들이 들어와 학교의 향방을 정하겠다는데도, 학교는 이제 수익 사업을 할 수 있으니 우리는 자율성을 얻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공부하고 싶어 학교에 들어왔습니다. 학교가 법인화되고, 등록금이 또 오르고, 수익성 없는 학문에 대한 지원이 줄고, 그렇게 갈수록 열악해져도 우리는 아마 가능한 한 공부를 이어갈 것입니다. 할 수 있는 것도, 그나마의 일들을 할 수 있는 용기도 많지 않은 시점에서 나온, 총학생회의 결정을 지지합니다. 의결권도 없는 채로, 멀찌감치서 학생비상총회를 지켜 볼 수밖엔 없었지만, 이렇게 글로나마, 지지를 전합니다.

서울대는 법인화설립준비위원회를 해체하고 평등한 대화에 나서라
국회는 날치기 처리된 서울대법인화 법을 전면 재논의하라

인문대학 미학과 대학원생 연명자 일동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