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본부 점거 농성장

기대앉은 파티션 뒤에서 코 고는 소리가 들린다. 파티션 너머에 있는 사무기기의 분실을 우려한 것인 듯, “들어가지 말아주세요”라고 써 붙여 놓은 노끈을 들추고 들어가 자고 있는 사람의 소리다. 농성장의 밤은 열악하다. 덥고 지저분한 것, 그런 차원의 문제는 아니다. 사방이 트인 곳에서의 혼숙, 그것은 누군가의 잠을 불가능하게 하는 조건이다.(반대로, 남녀분리가 그러한 조건인 사람도 물론 있다.)
세어 본 것은 아니지만, 계단을 오르내리며 얼핏 보기에도 농성장에는 남자가 훨씬 많다. 불편하지 않거나 불편함을 참고 이곳에서 자는 여자는 상대적으로 적다. 불편함을 참지도, 그렇다고 집에 가지도 못한 한 사람은 지금 출입이 금지된 파티션 너머에서 자고 있다.
오랜만의 농성이다. 농성장을 방문한 일이야 많지만, 농성장에서 밤을 보내는 건 홈에버 파업 이후 처음이지 싶다. 낯설기도 하고 흥미롭기도 하다. 2005년 이후 처음으로 열린 비상학생총회가 쉽사리 성사되고, 그 자리에서 점거가 결정되고 실행에 옮겨지는 장면을 보고 있는 일은, 한편으로는 즐겁기까지 했다.
한편으로만 즐거웠던 것은, 내가 의결권이 없어서이기도 했고 농성이 걱정스러워서이기도 했다. 코앞에 있는 농성장을 내가 무시하고 내 생활을 지킬 수 없으리라는 불안감과, 기어이 농성장을 찾은 내가 편히 있지 못하리라는 불안감이 겹쳐졌다. 그렇게 농성 첫 날을 불편하게 앉아 농성장에서 보내고, 오늘 또 이곳에서 밤을 보내고 있다.
학교에서 4년을 운동했는데, 당시 함께 운동했던 친구들은 운동을 그만둔 이와 지금도 함께 운동할 자신의 친구가 있는 이로 나뉘었다. 졸업을 하고 2년째, 학교에서 내가 하던 운동을 이어 하고 있는 이들을 만난 바 없는 나로서는, 함께 농성장에 올 사람이 없었다.
슬프기보다는 억울했다. 지난 시간이 무엇을 위한 것이었나 싶어서. 그렇게 종일 망설이며, 오늘 농성장을 올까 말까를 고민했다. 오지 않으면 마음이 불편하겠지만, 홀로 와서 우두커니 있으면 슬퍼질 것이었다.
고민 끝에 결국 결단을 내리고 아무런 기대 없이 찾아 온 농성장 앞에서 친구를 만났다. 함께 운동했던, 더 이상의 활동은 (아마도) 하지 않는 친구. 종일 고민하면서, 연락을 해 볼까 말까 했던 친구였다. 연락하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친구가 거절하지도 수락하지도 못할까 싶어 걱정되었다.
그러나 괜한 걱정이었나 보다. 내가 농성장에서 공부를 할 것이라 말하자 친구는 고민 없이 자기도 같이 하겠다고 했다. 그래놓고 지금은 옆에서 자고 있지만.
언론이 비춘 것처럼, ‘역시 서울대생’들이 모여 ‘공부 시위’를 하고 있지는 않다. 네 층 중 반 층만이 온전히 공부하는 이들로 차 있고, 나머지 공간에서는 카드놀이와 노래와 춤과 웹서핑과 잠과 수다가 한데 섞여 있다.
편하지 않은 농성장이 싫지만은 않은 것은, 다양한 것을 위한 분리된 공간이 주어지지 않은 그곳에서는 많은 것이 한데 어우러지기 때문이다.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섞여 서로 다른 일을 하는 가운데 서로 알게 되어 가는 것, 그것이 좋기 때문이다.
모르는 사람을 만나는 것은 두려운 일이 되었지만, 모르는 사람을 구경하는 일은 여전히 즐겁다. 이 친구는 아마 자주 농성장에 오지는 못할 텐데, 나는 구경을 위해서나마 이곳에 자주 올 수 있을까.
잘은 모르겠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