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경험>

한국성폭력상담소에서 낸 <보통의 경험>(이매진, 2011)을 읽었다. 공식적인 리뷰, 그러니까 좋은 말만 쓴 책 소개는 여기.

그리고 공동 저자 5인 중 한 분인 당고 님의 책 소개는 여기.

일부러 볼륨을 한껏 높인 이어폰을 귀에 꽂고 읽었다. 책이 성폭력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재현하고 있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결코 쉬이 읽히는 것은 아니었다. 이틀 쯤을 망설이다 결국, 최대한 집중하지 않고 읽어 넘기기로 했다.

 
보통의 경험, 에로 비디오 제목을 밴드 이름으로 정했다는 어느 뮤지션의 책 제목이 떠올라 영 마뜩지 않았지만, 더 이상의 이름을 붙이기가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누구나가 노출되어 있다는 점에서 실제로 보통의 경험이자, 부디 보통의 경험으로 끝내 넘길 수 있기를 바라는 일, 적어도 내게 성폭력은 그런 이미지다.
 

성폭력 가해자의 속성을 언급하면서 ‘정신 이상자’, ‘정신 질환자’ 같은 정신 장애를 비하하는 표현들(물론 ‘가해자는 —이 아니다’는 형태의 서술이다)이 몇 차례 등장하고, 시종 비장애인의 신체를 중심으로 한 비유들―보다, 일어서다 따위의―이 주요한 메타포로 반복되는 점은 적잖이 불편했다.

일단 그런 문제는 차치해 두자, 고 말하고 싶지는 않다. 어떠한 가치만을 견지한 채 다른 가치를 부차적은 것으로 두어도 좋다고 생각하지도 않고, 이 책을 접할 이들 중에 보거나 일어설 수 없는 사람들이 있으리라는 점을 간과할 수도 없다.

그런 불편함들을 갖고서 읽은 이 책에서 가장 생소했던, 그리고 가장 흥미로웠던 점은 ‘피해자 리더십’이라는 명명이었다. ‘피해 경험자가 주인공이 되어 보자’는 말을, 이야기가 비극이건 희극이건 끝이 기쁘건 슬프건 간에 결국 의미를 창출하는 것은 주인공이라는 식으로 이해해도 좋다면, 사건이 결코 당사자가 원하는 대로 흘러가거나 마무리 되지 않는 힘겨운 현실 속에서도 얼마만큼의 힘을 얻을 수 있을까.

“섣부르게 용서하라고 피해자에게 권고하는 것은 모욕”이라는 이 책의 인용*만큼이나, ‘당신에게 힘이 있다’고 말하는 것도 내게는 어려운 일이지만, 20년이라는 세월을 피해자들과 함께 한 이들이 하는 말이니, 라는 점을 변명 삼아 조용히 뇌까려 본다. 당신에게는 힘이 있다, 고.

비교적 가까이서 경험한 경우든, 혹은 어디선가 주워들은 경우든, 성폭력은 사건으로 규정하고 대응하건 그렇지 않건, 가해자가 반성하고 사과하건 그렇지 않건, 어쩌면 시간이 갈수록 상처는 커지기만 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쉽사리 말할 순 없지만, 주인공이 된다면, 어떻게든 조금은 나아질까, 하는 생각을 했다.

*엘렌 베스, 로라 데이비스 지음, 이경미 옮김, <아주 특별한 용기>, 230 쪽, 동녘, 2000.

인용문은 로라 베이비스의 말, 이 책 247쪽에서 재인용.

덧.
무슨 생각을 하면서 ‘피해자 리더십’이란 말을 읽었는지를 안 써 둬서. 성폭력 피해자를 가리키는 ‘대안적’ 용어 중에 ‘성폭력 생존자’라는 것이 있다.

그 동안 수동적이고 약한 존재로서의 고정된 피해자 상을 벗고 자신의 삶이 직면한 문제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삶을 이끌어온 살아남은 생존자로서 주체적 존재로서 그/녀들을 다시 보는 것입니다.

주체의 자리를 되찾기 위해 새로 고안한 이름이라지만, 오히려 내게는 더 수동적인 이름으로 읽혔다. 살아 ‘남은’ 것으로 한정되는 이미지였달까. 피해자라는 명명이 피해를 크건 작건 피해를 입었음을, 어떠한 형태로건 보상이 필요함을 말하는 듯했다면 생존자라는 이름은 작은 사건조차도 확대하는, 그러나 별다른 대책은 없는 듯한 인상을 풍겼다.
그래서 조금은, 더 반가웠지 싶다. 피해자 리더십이라는 새로운 접근이.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