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불구를 불구화하기 ― 리처드 3세를 되찾을 때인가? (케이트 오라일리, 2018)

원문: Kaite O’Reilly, “Cirpping the Crip ― Is It Time to Reclaim Richard Ⅲ?“, Howlround, 2018. 최근 들어 재현에 관한 논의들이 스크린, 연극 무대, 오페라 무대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문화적 유산, 인종, 성별 정체성과 관련한 다양성 부족에 관한 논쟁이 특히 그렇다. 영국에서는 필리다 로이드 Phyllida Lloyd가 여성 교도소를 배경으로 한 셰익스피어 삼부작으로 찬사를 받고, 2015년에 … [읽기]

[번역] 《그들에겐 시계가 있고 우리에겐 시간이 있다》 서문 (레오폴드 램버트, 2021)

원문: Léopold Lambert, “They Have Clocks, We Have Time: Introduction,” The Funambulist, Iss. 36, “They Have Clocks, We Have Time,” June, 2021. [전략] 2014년 봄에, [중략] 건축의 무기화에 관한 내 작업을 잘 알고 있던 그녀[법학자 레니사 마와니Renisa Mawani]가 조언을 하나 했다. “레오폴드, 당신의 작업은 매우 흥미롭지만 당신은 공간을 너무 많이 생각해요. 시간도 생각하셔야 해요.” 솔직히 … [읽기]

[번역] 젠더 팬데믹? (맥스 손튼, 2021)

원문: Max Thornton, “Gender Pandemic?”, 2021. 인용의 정치학을, 그리고 혐오 클릭이 만들어 내는 웹 트래픽이 돈이 되는 일을 유념해 이 글에서 논의되는 트랜스혐오적 발언을 직접 인용하거나 링크하지 않기로 했다. 지난 몇 년간 트랜스혐오transphobia는 유행병적 전환을 맞았다. 비방하는 이들에 따르면 트랜스라는 것은 전염이요 바이러스이며 유행병이다. 안타깝게도 도덕적 타락이자 남성이 여성의 신체를 식민화하는 것이라는 유서 깊은 트랜스혐오 … [읽기]

[번역] 포스트포스트블랙? (나나 아두세이-포쿠, 2021)

원문: Nana Adusei-Poku, “Ⅶ. Post-Post-Black?”, Taking Stakes in the Unknown: Tracing Post-Black Art, transcript Verlag, 2021. 책의 결론부다. 앞은 아직 읽지 않았다. 2016년에 《NKA: 동시대 아프리카 미술 저널》에도 같은 제목의 글이 실린 바 있는데 이 글 역시 확인하지 못했다. 역주는 〔, 〕로 표시했다. 포스트포스트블랙Post-Post-Black? 도통 내 정체성의 다른 측면을 억압해서 나의 어느 한 측면이 득을 … [읽기]

[번역] 장애의 드라마투르기 (빅토리아 앤 루이스, 1998)

원문: Victoria Ann Lewis, “The Dramaturgy of Disability,” Michigan Quarterly Review Volume XXXVII, Issue 3: Disability, Art, and Culture (Part Two), Summer 1998. 낙인 찍힌 오이디푸스와 리처드 3세에서부터 세상에 무구함과 선함을 보여주는 특별한 아이 타이니 팀Tiny Tim에 이르기까지, 구태의 교훈적이고 감상적인 재현 모델이 빚어낸 장애 캐릭터들이 대대로 무대를 채워 왔다. 이런 묘사들이 얼마나 성공적이었는지는, 새 …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