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총여학생회 여성제 콘서트에 갔다가 문득, 이름이 하나 더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내 이름말고, 이 세상의 이름 말이다.
사회자의 말 중에 "정해진 몸을 강요하는 가부장제와 이성애 중심주의…" 어쩌고 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따지고 보면 몸의 모델을 제시하는 건 ‘이성애’ 중심주의는 아니니까 말이다.
‘이성’이라 불리는, 남성과 여성, 여성과 남성의 성애면 되는 게 아니라, 어떤 여성, 어떤 남성이 정해져 있다는 건 ‘이성애’ 이상의 무언가가 중심에 있다는 뜻이니까 말이다.
가부장제는, 여성에겐 정해진 몸을 요구하지만 남성에겐 상대적으로 관대하니까 역시나 그걸로는 부족하다 싶고.
이런 뻔한, 누구나 알지만 딱히 새로운 이름을 내긴 곤란하고 귀찮은 이야길 쓰고 있는 건, 그저 문득 떠올랐기 때문이다.
간만에 만난 한낱 님은 <우리는 긴다>라는 신곡을 부르더라.(만든지 꽤 됐다고 하더라만, 내가 처음 들었으니 신곡)
가사가 익숙하다 싶었는데, 어느 장애인 당사자가 쓴 시를 엮어서 쓴 가사라고 했다.
일다로 블로그를 통해서만 보았던 레드걸 님의 공연은 생각보다 유쾌했다.
시종일관 심각한 표정이라, 웃으라고 넣은 건지 아닌지 몰라서 안 웃긴 했지만.
퍼포먼스가 끝난 후 관객과의 대화 시간에 한 중년(중년임을 언급하는 것은, 대학교에서 만난 그 모습이 신선했기 때문이다.) 관객은 이렇게 말했다.
"슬그지를 하다 보면, 여성으로서나 남성으로서가 아니라, 한 사람으로서 멋있고 싶다는 생각을 종종 해요. 공연 잘 봤습니다."
설거지를 슬그지라고 발음하는 어느 지방인지의 방언(아마도 서울 방언인 것 같았다)이 소박하니 참 와 닿았다.
춤에는 관심이 별로 없지만, 스윙시스터즈의 모녀 공연도 멋졌고, 싼티와싼초도 지난 번에 봤을 때보단 덜 무섭…더라.
콘서트가 끝나고, 낮동안 개방된 전시장을 못 본 이들을 위한 특별 야간 개장이 있었다.
스태프들이 천막에 불을 켜는데, 갑자기 길을 가는 사람들이 몰려 들기 시작하더라.
세상에나, 했는데, 마침 그 자리가 학교 셔틀버스 정류장인 것 뿐이었다.
그나저나 콘서트 할 때 옆에 앉았 있던 사람은 뭐하는 사람이었을까.
공연 내내 디엠빈지 뭔지로 야구를 보다가 말다가 보다가 말다가 하던데.
사람들이랑 데면데면한 걸 보면 총여 활동가도 아닌 것 같고, 일하는 게 엉성한 걸 보면 강당 직원도 아닌 것 같고.
활동가 애인이라서 구색 맞추기로 온 것만 아니면 좋을 텐데. 큭.
연세대학교 12회 여성제 <몸이 없어졌다> http://nobody2010.egloos.com/
한낱 http://blog.naver.com/stoptosmoke
레드걸 http://blog.naver.com/femnist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