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에 관하여 ― <나무빼밀리로망스>에 부쳐

이래저래 일이 있어서 추석 연휴에는 고향에 가지 않고
서울에 남았다
.
종일
일하거나 종일 자거나 하며 연휴를 보내던 중
,
추석
당일 저녁이었나
,
친구가
표를 구해주어 연극을 한 편 보았다
.
몹쓸
가족극”이라는 부제인지 슬로건인지가 붙은
<나무빼밀리로망스>라는
작품이었다
.
친구는
‘고어하고 난해한’ 연극이라고 말했고
,
찾아본
기사에는 한 세대 전 한국 연극계의 선구자 쯤 된다는
윤영선이라는 이의 각본이라고 되어 있었다
.
그가
직접 쓴 것이 아니라
,
그의
작품들 중 해체주의적 성향을 대표하는 세 편을 재구성해
새로 쓴 각본이라는 사실은 연극을 다 본 후에야 알게
되었다
.

극장
근처에서 시간을 떼우다 시작 시각이 거의 다 되어서야
표를 받고 이윽고 객석에 앉았다
.
무대는
팔각형
,
객석은
90
각도로 두 곳으로 나뉘어 있었다
.
막은
따로 없었고 무대의 조명도 켜져 있었으며
,
배우들은
시작 전부터 무대위 벤치에 앉아 있었다
.

알아도
모른 척
,
몰라도
아는 척

사이에
한 번 암전이 되었던가
,
정확히는
기억나지 않는다
.
공연
중에 흡연 씬이 있으니 양해해 달라는
,
사진을
찍어도 좋고 휴대전화를 써도 좋지만 공연에 방해는
되지 않게 해달라는 안내 방송과 함께 극은 시작되었다
.
배우들이
가장 먼저 한 행동은 관객들에게 인사를 하는 것이었다
.
그리고는
서로 사랑을 표현하는 행동을 했던 것도 같다
.
순서는
기억나지 않지만 크게 웃어제치기도 했고 비명을
지르기도 했다
.
스피커에는
“아들아

억울하다
아들아-”하는
말이 흘러 나왔다
.

안내
방송과 마찬가지로
,
배우들은
관객들을 의식하는 동시에 의식하지 않았다
.
아니,
어떤
면에서는 모독했다고 하는 편이 좋겠다
.
인사로
연극을 시작했고
,
막 없는
무대에서 중간에 옷을 갈아 입으면서 서로에게 ‘관객들이
기다리니까 빨리 하라’는 등의 말을 하기도 했다
.
그러나,
역시
막 없는 무대에서
,
그들은
아무렇지 않게 소품을 옮겼다
.
마치
아무도 보고 있지 않다는 듯
.
장면
사이에 뿐만 아니라
,
누군가는
연기를 하고 있는 중에도 그들은 소품을 옮겼다
.
연기를
하는 배우도
,
그것을
보는 관객도
,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듯 행동했지만
.
그런
관객들에게 배우들은
,
닭의
내장을 갖다 댔다
.

몹쓸
가족’인 그들은 곧잘 서로에게 욕설을 해댔다
.
남편이
부인에게
,
부인이
남편에게
,
부모가
자식에게
,
자식이
부모에게
.
자식이
욕을 하면 부모는 가끔 자식을 때렸다
.
반대의
경우는 딱히 일어나지 않았다
.

기억이 맞다면
,
엄마’가
자식들에게 맞은 것은 한 번이고
,
아버지’가
맞은 일은 없었다
.(극중에서
그들이 엄마와 아버지라고 불린 게 확실한지는 모르겠다
.
하지만
엄마가 어머니라는 호칭에 맞는 지위를 갖지 못했던
것은 확실하다
.)
그렇게
욕을 하고 그은 또 웃어제쳤다
.
아무일도
없었다는 듯
,
우리는
서로 사랑하는 가족이라는 듯
.

병상의
남편
/아버지가
틀니를 찾는데 가족들은 그 말을 끝내 알아듣지 않는다
.
그럼에도
그들은 사랑을 담아
(자신이
답이라고 믿는
)
무언가를
가져다 준다
.
이윽고는
또 소리를 지르지만
.
알아도
모른 척
,
몰라도
아는 척
,
그것
없이 가족이 유지될 수 있을까
.

시작은 사랑 혹은 필요였겠지만
,
가족은
이후의 많은 것이 우연으로 구성되는 공동체다
.
누가
자신의 자식이 될지
,
누가
자신의 부모가 될지 알 수 없는 것은 물론
,
스스로가
택한 이 사람이 십 년 후 어떤 모습일지조차 알 수
없으니까 말이다
.
한 시간
반의 상연시간동안
,
그들을
지탱한 것이 바로 그 원칙이었다
.

반쪽

몹쓸
가족극”임에도 불구하고
아버지와 아들이 주인공인 이유를 나는 알지 못한다
.
나의
편견으로 인한 오독일 수도 있다
.
남성
중심으로 서사가 구성되는 이 사회의 의식적인 반영일
수도 있고
,
작가/연출가의
편견으로 인한 무의식적인 반영일 수도 있겠다
.
아버지는
아들을 미국으로 유학 보냈다
,
아마도
반 억지로
.
그리곤 외국물을 먹고 돌아온 아들에게 질투와 열등감을 느낀다.
아들은
아버지에게 네
,
,
하지만
아버지의 왕년 미국행을 ‘관광’이라 칭한다
.

말에 아버지는 발끈하였으므로
,
진실은
알 수 없다
.
자신이
딸 때문에 죽었다고 믿는 아버지의 망령은
,
억울하다며,
오직
아들만을 찾는다
.

딸은
의사다
.
자신의
죽음이 이 딸의 오진 때문이라 믿는 아버지는 여자가
무슨 의사냐며
,
간호사나
시켰어야 했다고 말한다
.
이쯤은
그저 사회의 반영이라 해도 좋겠다
.
딸은
1
2역을
맡는다
.
무시
받는 딸인 동시에
,
자신을
닮은
,
남동생의
여자친구
.
아들
커플이 부모에게 인사오는 장면에는 그러므로
,

딸은 등장하지 않는다
.

딸이 한 명이 아니라 반 명이었어야 했는지는 알지
못한다
.

역시 사회의 반영이라 생각하고 지나가도 좋은 걸까
.
엄마가
카자흐스탄인으로 설정된 이유 역시
,
나는
알지 못한다
.
극중에
그가 한 카자흐스탄어 대사들이
,
얼마나
맞는 것인지 나는 알지 못한다
.

숨을 곳 없는 좁은
무대

막도
백스테이지도 없는 팔각형의 좁은 무대
,
배우들은
자신의 역할이 없을 때엔 객석에 노출된 의자에 앉아
있었고 일정 정도 이상의 이동을 표현할 때엔 무대를
빙빙 돌았다
.
귀를
막고 그만 하라고 소리를 질러도 피할 수 없는 억울하다는
망령의 외침처럼
,
그들은
아무것도 피하지 못했고 어디로도 가지 못했다
.
흩날린
꽃잎
,
쏟아진
귤 따위에 무대 위에 어지러이 널렸고 이리저리 다니는
배우들의 발과 이리저리 옮겨지는 소품들에 밟혀
으깨어졌다
.
무대는
갈수록 더러워졌고
,
극이
끝나기 전에는 그것을 청소할 도리가 없었다
.

극중의
시간은 이상하게 흘렀다
.
(
아마도)
현재에서
시작해 갑자기 과거를 비추더니
,
나중에는
시점을 알 수 없게 되어 버렸다
.
시작부터
아버지의 망령이 흐느꼈지만
,
아버지
역의 배우는 그 때에도 무대 위에 있었고 나중에도
무대 위에 있었다
.
이것이
역사인지 현재인지
,
회상인지
망상인지 알 수 없도록 극중의 시간은 뒤엉켜 흘렀다
.
미국에서
돌아와 부모에게 인사를 했던 아들은 아버지가 병상에
있을 때에도 귀국했다
.
친아버지와
양아버지가 있다고 했는데
,
누가
누구인지 나로서는 알 수 없었다
.

좁고
숨을 곳 없는 더러운 무대에서 서로가 엉킨다
.
(
역시나
윤영선의 다른 극에서 가져 온 대시라는데
)
암에
걸린 아버지는 회한에 찬 목소리로 외친다
.

세포가 내 세포를 공격하다니
,
그게
말이나 되느냐고
.
함께
하리라
,
서로를
아끼리라 믿었던 존재 사이의
,
끝내
파멸로 이끄는 무차별적인 공격
,
그 좁은
무대 위에서 쉼없이 일어난 모든 일들은 바로 그것이었다
.
서로를
포옹하고 함께 웃어도
,
가족을
자처해도
,
피아를
구분할 수 없이 이어지는 서로에 대한 공격들
.

가족들이
한데 모이는 날이라는 명절 저녁
,
남들이
간만에 만난 가족으로 신음할 때
(물론
누군가는 만날 가족이 없거나 있는 가족을 만날 수
없었겠으나
)
가족을
뒤틀고 비꼴 연극을 기대하며 나섰던 내가
,
마치
대가족과 한 시간 반을 보낸 양 지쳐서 극장을 나선
것을 보면 잘 만든 연극이겠지 싶다
.
서사를
해체하고 사실주의적 재현을 포기함으로써 역설적으로
가족에 대한 사실 이상으로 사실적인 묘사를 해 내었으니
말이다
.

그래도
좋은 작품이었다
,
는 말은
쉽게 나오지 않는다
.
1

2역의
,
카자흐스탄인
엄마
,
낯선
이와 섹스한 이들의 진부한 대사
,
극의
말미에 서로의 분신처럼 선 아버지와 아들
,

아들을 흐뭇한 눈빛으로 바라보는 아버지―나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꽤나 많았다
.
원작들의
작가가 한 세대 앞의 사람이기 때문인지
,
이 극의
작가
/연출가가
나와는 다른 삶을 사는 이들이기 때문인지
,
아니면
단순히 내 탓인지 알 수 없으므로 더 이상 말하기는
어렵다
.

연극
팜플렛에서
,
오진으로,
사고로
죽는 사람들
,
자연사하지
못하는 사람이 넘치는 사회적 문제를 건드리고자 했다는
말을 읽은 것 같다
.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